밀톤 한인 장로 교회 주일 설교 (2021년 9월 19일)
본문: 마태복음 28:16-20
제목: 참된 제자의 길 (2)
설교자: 정창송 목사
그러므로 너희는 가서 모든 민족을 제자로 삼아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베풀고 내가 너희에게 분부한 모든 것을 가르쳐 지키게 하라 볼지어다 내가 세상 끝날까지 너희와 항상 함께 있으리라 하시니라(마28:19-20)
참된 제자의 길에 대한 씨리즈 설교 두 번째 시간입니다. 오늘 본문 말씀을 통해서 예수님이 우리에게 마지막으로 남기신 지상 명령의 배경을 통해 제자의 길이 무엇인가? 깊이 깨닫는 시간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1. 예수님의 지상 명령의 배경: 오늘 본문 말씀은 부활하신 예수님께서 승천하시기 직전에 제자들을 향해 주신 지상 대명령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 지상 명령은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모든 것을 다 맡기시고 떠나시기에 앞서서 하신 말씀으로 우리가 진정 예수님을 따르는 제자라면 외면할 수 없는 사명입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지상 명령은 부활하신 주님의 권세를 힘입어(18절), 세상의 모든 족속을 제자로 삼으며 세례를 베풀고(19절), 예수님의 삶과 모든 가르침에 순종하며 살아가도록 가르치는 것입니다(20절)
오늘 우리는 예수님이 왜 마지막에 남긴 이 유언의 말씀이 “가서 제자를 삼으라”는 것인가를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제자가 되는 길은 쉽지 않습니다. 우리는 우리가 가고 싶은 길로 가는 사람들입니다. 본문 16절을 보면 “열한 제자가 갈릴리에 가서 예수께서 지시하신 산에 이르러” 말씀합니다. 왜 열한 제자입니까? 원래 12제자인데 한 제자가 빠졌습니다. 우리는 그 빠진 한 제자가 가룟 유다라는 것을 알고 잘 있습니다. 왜 빠졌습니까? 시작은 참 좋았습니다. 그러나 끝이 좋지 않았습니다. 예수님께서 12제자를 부르실 때 모든 것을 버려 두고 예수님을 쫓은 제자들입니다. 3년 반 동안 예수님과 함께 생활하고 예수님 따라다녔지만 배신 당하였습니다. 왜 그렇습니까? 예수님의 참된 제자가 아니었기 때문입니다. 신앙 생활하면서 배신당하는 것 너무 힘들어 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사실 어는 제자가 예수님 배신 안했습니까? 베드로나 가룟 유다나 거의 50보 100보입니다. 어느 제자가 예수님 고난 받으실 때 곁에 남았습니까? 다 도망갔습니다. 가룟 유다나 다른 제자나 무슨 큰 차이가 있는게 아닙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가룟 유다와 베드로가 얼마나 다른 인생의 행로로 갈라지는 것을 보게 됩니다. 둘 다 예수님 배반했지만 그냥 자기 목숨을 마감한 사람과 넘어졌지만 철저히 회개하고 예수님 손 붙들고 다시 일어서는 사람이 있다 라는 것입니다. 오늘 우리는 이 11제자라는 말을 통해서 우리가 정말 예수님을 끝까지 따른다는 것이 결코 쉽지 않다 라는 사실을 깊이 깨닫게 됩니다.
그런데 예수님께서 이 11제자를 다시 부르셨습니다. 어디로 부르셨습니까? 갈릴리로 부르셨습니다(16절) 왜 예루살렘이 아니고 갈릴리 입니까? 새로 무슨 일을 제자들과 함께 시작하려면 예루살렘에서 시작해야 할텐데 예수님은 예루살렘이 아니라 갈릴리로 제자들을 부르셨습니다. 예루살렘은 실패한 자리입니다. 배신한 자리입니다. 그러나 갈릴리는 처음 제자들을 부르시고 시작하신 자리입니다. 예수님은 넘어진 제자들이 다시 일어서기에 가장 좋은 장소, 그것은 처음 출발했던 자리로 돌아가는 것임을 아셨습니다. 우리 모두도 넘어질 때마다 실패할 때마다 예수님을 처음 만났던 그 자리로 돌아가는 것, 처음 믿음의 자리로 돌아가는 것이 회복의 관건입니다. 예수님과 다시 시작할 수 있다면 그것보다 더 확실하고 빠른 시간은 없습니다.
이어서 17절을 보시면 “예수를 뵈옵고 경배하나 아직도 의심하는 사람들이 있더라” 여러분! 이 상황이 이해가 되십니까? 부활하신 예수님께서 여러 차례 제자들에게 보이시고 예수님께 나와 엎드려 절을 하면서도 아직도 의심하는 자가 있었다고 성경은 기록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경배하다”는 원어의 뜻(프로세퀴네오)은 예수를 왕으로 나타낼 때 사용하는 것으로 지금 제자들이 예수를 경배한 것은 이때부터 예수님을 단순히 “스승”의 차원을 넘어서 “참 하나님이시요 왕으로 본 것입니다.” 그런데 그러면서도 여전히 의심하는 자가 있었다는 것입니다. 도대체 이 제자들은 어떤 제자들입니까? 이런 제자들에게 무엇을 맡긴다는 것입니까?
왜요? 예수님께서는 우리 안에 있는 믿음을 기준으로 평가하지 않으시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은 당신 안에 있는 능력과 믿음으로 우리를 부르시고 세우시고 제자 삼으신다는 것입니다. 이게 복음의 본질입니다. 이게 구원의 은총입니다. 우리의 자격과 조건과 능력을 따지면 하나도 구원받을 수 없고 제자로 부름 받을 일도 없지만 예수님은 우리 안에 있는 능력을 보시는 것이 아니라 당신 안에 있는 모든 것들을 근거로 우리를 구원하시고 우리를 제자로 부르신다 라는 것입니다. 이게 바로 Good News, 복음입니다. 예수님께서는 여전히 의심하고 있는 제자들을 용납하십니다. 예수님은 그럼에도 우리를 끝까지 책임져 주신다 라는 것입니다.
2.제자의 길: 제자가 되는 길은 쉽지 않습니다. 우리가 예수님의 제자가 되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나의 길을 가고자 하는 죄 아래 살았던 삶의 방식들을 깨뜨리고 말씀으로 온전하게 살아가도록 하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훈련을 받아야 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두 가지를 반드시 해야 합니다. 한 가지는 내가 예수의 제자로 계속 자라가야 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우리 모두의 일평생의 작업입니다. 주님이 부르시는 날까지 계속 자라가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나를 이끌어 주는 영적 리더가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끊임없이 그리스도의 제자로 자라가기 위해서 노력해야 합니다.
그리고 또 하나는 내가 자란 만큼 나도 누군가에게 그런 역할을 해야 하는 것입니다. 그러면 이 순환 과정을 통하여 하나님의 나라가 이루어집니다. 우리 모두 일평생 예수를 믿고 또 예수의 제자로 살아가려면 내 자신이 그리스도의 온전한 제자가 되기 위해서 노력해야 하고 또 다른 사람을 그리스도의 제자로 삼는 일에 우리의 삶을 헌신해야 합니다. 그런데 배우기만 하고 자라지는 않는다면 그것을 영적 유아입니다.
말씀을 마칩니다: 세상의 변화는 이 지상 명령에 순종할 때 가능합니다. 우리 모두 주님의 제자가 되어 예수를 점점 깊이 알아가고 예수를 전하는 일에 힘쓴다면 우리의 삶 자체가 최상의 인생이 될 것입니다. “제자를 삼으라” 누구든지 할 수 있습니다. 내가 아는 만큼만 안내하시면 됩니다.